Programming/System
Lock-free VS Wait-free
일단 Lock-Free와 Wait-Free의 상관관계를 보면 위와 같이 포함관계이다. 즉 모든 Wait-Free는 Lock-Free라고 볼 수 있다. 1. Lock-Free Algorithm 여러개의 쓰레드에서 동시에 호출했을 때에도 정해진 단위 시간마다 적어도 한 개의 호출이 완료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.가 보통의 번역이고 이걸 조금 풀어서 설명하자면 - 멀티쓰레드에서 동시에 호출해도 정확한 결과를 보증함. - non-blocking으로 동작함. - lock을 사용하지 않아야한다. - 호출이 다른 쓰레드와 충돌하였을 경우, 적어도 하나의 승자가 있으며 그 승자 쓰레드는 딜레이 없이 완료된다. 즉, Lock을 사용해도 Lock-Free가 아니며, while (dataReady == false) { temp..
2016. 10. 19.